유방암 증상 유방암 자가진단 3기 4기 생존율
유방암은 여성 암 발생률 1위인 암으로 유방 밖으로 퍼져나가는 악성 종양으로 유방에 존재하는 여러 세포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종류가 상당히 많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유관과 소엽세포로 시작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유관과 소엽의 상피세포(몸 표면, 장기, 혈관 표면 등을 덮고 있는 세포)에서 발생한 암을 말합니다.
유방암 증상과 발생 원인 자가진단 방법, 검사, 1~4기까지의 생존율을 알아보겠습니다.
유방암의 발생 원인
아직 발생 메커니즘이 명확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5~10%는 유전적 요인으로 엄마와 자매 모두 유방암 환자라면 그 위험이 약 8~12배 늘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에 많이 노출될 때 아이가 적거나 모유 수유를 하지 않은 경우, 가슴 부위 방사선 치료를 한 경우 매일 음주하는 습관, 폐경 후 비만, 자궁이나 난소, 대장에 암이 있는 경우 발병 위험을 높입니다.
유방암의 종류
침윤성 유관암 유관세포가 기저막을 침범한 암으로 유방암의 75~85%를 차지할 정도로 대표적인 유형입니다.
침윤성 소엽암 유방의 소엽세포에 기인하며 전체 유방암의 5~10% 정도 됩니다.
유관 상피내암(비침윤성) 유관세포에서 시작되었으나 유관 기저막을 침범하지 않은 0기 유방암 상태이며 기저막을 깨면 침윤성 유방암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소엽상피내암(비침윤성) 소엽세포에서 나온 암으로 소엽기저막을 침범하지 않는 0기 상태입니다.
유관 상피내암에 비해 젊은 연령층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유파젯병 유두와 유두 주위의 거무스름한 피부에 암이 발생함으로써 전체 유방암의 1~2% 미만의 희귀 암입니다.
이외에도 수질성암, 관상암, 유두상암, 점액성암, 아포크린암종, 분비성암종, 화생성암종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환자 중 1%는 남성 유방암입니다.
유방암 증상응어리 – 유방암 초기 증상은 없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그래도 일반적인 증상은 유방 내 통증 없는 응어리가 생기는 것입니다.
림프절로 전이가 되어 겨드랑이에서도 응어리가 닿는 경우가 있습니다.
유두에 분비물이 증가하여 심하면 피가 섞이거나 습진이 생기기도 합니다.
암이 피부를 잡아당겨 유두 함몰 또는 피부가 함몰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암이 있는 피부 조직이 두꺼워지고 부종 증상이 나타납니다.
염증성 유방암은 덩어리가 닿는 것보다 피부에 통증, 열감, 부종 등 염증이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남성의 경우 주로 젖꼭지 아래에서 딱딱한 응어리가 만져지기 때문에 유방에 응어리 증상이 있는 경우는 검사를 하는 것이 좋아요.유방암 1기 2기 3기 4기 생존율유방암 0기 기저막을 침범하지 않은 상피내암으로 완전 초기 단계입니다.
유방암 1기 생존율 종양의 크기가 2cm 이하,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를 말하며 5년 생존율 96.6%, 10년 생존율 95%에 달합니다.
유방암 2기 생존율 종양의 크기가 2cm 이하, 림프절 전이가 3개 이하인 경우를 말하며 생존율은 91.8%입니다.
유방암 3기 생존율 종양의 크기가 5cm 이상, 림프절 전이가 3개 이상인 경우 생존율은 75.8%입니다.
유방암 4기 생존율 종양이 뼈, 폐, 간, 뇌 등 다른 장기로 전이된 경우이기 때문에 생존율 34% 정도로 매우 낮습니다.
유방암 자가진단직접 자신의 유방을 꼼꼼히 살펴봄으로써 80%는 자가진단을 통해 유방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유방암 자가진단 시기는 유방이 가장 편안하고 조직이 부드러울 때이며 생리 시작일로부터 7~10일 후 매월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1.관찰경 앞에 서서 차례로 양팔을 모두 내린 상태, 머리 뒤로 손가락을 꼰 상태, 허리에 손을 얹고 좌우를 돌리면서 가슴의 모양, 크기, 피부 주름이나 색 변화, 함몰 등을 주의 깊게 살펴봅니다.
2. 손으로 만져볼 왼팔을 들어 오른손 끝에 동심원을 그리고 시계방향으로 겨드랑이에서 천천히 유방을 만지면서 원을 좁히고 유두까지 천천히 만져 통증이 있는지, 응어리가 있는지를 조사합니다.
2차적으로 누워도 동일하게 실시하고 겨드랑이까지 응어리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3. 유두를 짜서 분비물이 있는지 확인 유방암은 자가진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유방암 검사유방에 응어리, 응어리가 있는지 확인 유방촬영 유방초음파 악성종양 가능성이 있는 경우 미세침흡인세포검사, 총생검, 맘모톰 등으로 조직검사를 실시하는 유방암은 만 40세 이상부터 2년에 한 번 국가 무료검진을 실시하므로 반드시 받고 매월 자가진단을 하면 초기에 발견하기 쉬우므로 예후도 좋을 것 같습니다.
유방암 증상과 발생 원인 자가진단 방법, 검사, 유방암 1기부터 4기 생존율까지 알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