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청 선유동계곡, 신선한 공기를 마시며 힐링하기 좋은 곳

괴산군, 문경군, 지리산군 등 전국에 선유동이라는 이름의 계곡이 무수히 많다.
선유동 계곡은 이름 그대로 하늘에서 선녀가 내려와 놀던 곳이고, 선비들이 놀며 공부를 시험하던 곳이다.
이곳 선유동 계곡은 맑은 물과 폭포, 넓고 긴 바위면이 있어 선녀의 나라로 손색이 없다.

산청 선유동 계곡은 선녀들이 술을 담가 보관했던 항아리 모양의 홈을 비롯해 바위의 자연적으로 형성된 곡선이 선녀들이 술을 마시고 춤을 추면서 남긴 발자국이라는 그럴듯한 설명을 통해 술을 마시고 춤을 추는 우리의 민족성을 상기시켜줍니다.

지계곡을 지나 본류로 향한다.
선유동 계곡 아래 폭포.황도익(黃道翼, 1678~1753)이 지리산을 유람하던 중 1744년 『두류산유행록(頭流山遊行錄)』에 “선유동에 이르니 온 계곡이 가을빛으로 물들어 마치 붉고 푸른 비단을 짜 놓은 듯했다.
옥계천이 흐르고 물소리가 나그네들을 즐겁게 했다.
”라고 적었다.
폭포 위의 넓은 바위.계곡을 따라 계속 올라간다.
산 중턱에 석탑이 있는 산길이 보인다.
큰 연못에 몸을 피하는 두 노인.진주에서 왔다고 한다.
작은 폭포가 잇따라 이어진다.
물이 많고 미끄러우니 조심해서 가야 한다.
노부부가 또 다른 큰 연못에 몸을 피하고 있다.
시원하니 신발을 벗고 들어오라고 권한다.
이곳에서부터는 사람이 살지 않는 울퉁불퉁한 골짜기를 지나 천막이 있는 기도처까지 이어지는 풍경 사진입니다.
거북바위…거북바위…거대한 바위 아래에 촛불이 켜져 있습니다.
거대한 바위 아래에 촛불이 켜진 기도처가 있고, 바위 꼭대기 옆에는 행운의 천막이 걸려 있지만 지금은 사람의 흔적이 없습니다.
선유동에는 용못이 있어 경치가 아름답다고 합니다.
전설에 따르면 이 용못에서 용이 승천했고, 용이 지나간 선유동까지 용못 바위에서 푸른 선이 뻗어 있습니다.
용못 바위 아래에는 용굴도 있는데, 그곳에서 기우제를 지냈다고 합니다.
여기가 용못인가요?물이 깊고, 돌이 거칠고, 미끄러운 바위가 수십 미터나 이어져 있고, 계곡은 바위 절벽으로 둘러싸여 있어 계곡으로 들어가기 어렵습니다.
용소? 주변 청소도구들… 산길을 내려가면서 확대해서 본 풍경… 바위절벽 여기저기에 붉은 리본과 밧줄… 참으로 선유동… 선녀들이 놀던 곳에 도착… 가을구름 후산(厚山) 이도복(1862-1938)은 동곡 이조의 10대손으로 남명선생 밑에서 이조조랑을 지냈으며, 남명철학을 가문의 학문으로 삼은 학자였다.
신안리 길가에 후산 이선생의 비석이 있다.
선생님이 쓴 글 중에는 . 산청석각 명문총람의 번역된 내용 가운데 은하폭, 도화담, 문벽, 소은병, 처사암, 와룡폭 등의 지명이 등장하고, 최종 목적지로 낙수암이 언급되어 있으니 아마 여기가 아닐까 싶다.
(여기서 선유동의 글과 사진 1장은 ‘지리산 동남족’의 작품에서 차용했다.
) 오른쪽 바위에는 유상곡수와 도경효의 시가 새겨져 있다.
흐르는 물가에 누워(流觴曲水) / 굽이치는 물 위에 술잔을 띄워… 명암정식(1683~1746)의 널뛰기 흐르는 물가에 누워(笑坐流觴曲水濱) 웃으며 앉는다.
차간한사 최선진(此間閒事最仙眞) 지금 이 순간 나는 참 신선이 되었다.
복숭아꽃이 맑은 물 속의 흰 바위 위에 떠다닌다.
만물의 색깔은 여전히 ​​계축의 샘물이다.
병은 도경효(1556~1622)의 시이다.
신선들이 떠난 뒤 돌단은 텅 비어 있다.
밝은 대낮에 푸른 골짜기에서 천둥이 울린다.
이백이 여기서 흐르는 술을 본다면, 여산도 이보다 더 나쁘다고 말할 것이다.
경자(庚子) 5월, 폭포 왼쪽 큰 바위에 덕계 오선생 장구지소가 있고 오른쪽 큰 각진 바위에 옥류동 각자가 있다.
덕계 오선생 장구지소 옥류동에 나란히 새겨진 작은 글자는 “계축계추하한(癸丑季秋下澣: 계축년 9월 하순). 왼쪽 바위에 선유동이 희미하게 보인다.
” 이 계곡은 옛날 선녀들이 구불구불 흐르는 개울에 잔을 띄워 시를 읊는 곡수유상(曲水流觴)의 아름다움이 있던 곳이었다.
선녀들이 술을 빚어 저장하던 굴이 지금도 두 개나 있다고 한다.
폭포 위의 거대한 바위를 보면 지름 50cm, 깊이 2m의 항아리 모양의 큰 홈이 보입니다.
” 하지만 저는 아직 이곳을 찾거나 보지 못했습니다.
폭포 아래까지 내려가 보겠습니다.
수십 미터 길이의 미끄러운 하얀 바위와 긴 밧줄이 있는 폭포를 따라 내려가면 좋을 듯합니다.
선유폭포 둔철산 시루봉과 두구봉에서 흘러내리는 물줄기가 선유동 계곡을 형성했습니다.
동천(洞天)의 경치가 너무 아름다워 신선들이 그곳에서 놀았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습니다.
이 물줄기는 남서쪽으로 흘러 경호리강과 남강에 합류합니다.
제 생각에는 선유동 계곡의 위쪽이 산청의 백운계곡보다 더 아름다워 보입니다.
선유동 계곡은 사실상 많은 폭포가 있는 곳에서 끝나고 위쪽은 계곡의 아름다움이 전혀 없습니다.
내려갈 때는 붉은 리본을 따라 산길을 따라 내려갑니다.
도로에서 본 선유동 계곡 방향 탐험시간 100분 / 예상거리 왕복 2km